목록Python (52)
now is better than never
super () - 슈퍼 클래스에서 사용된 함수의 코드를 받아서 서브 클래스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선언 class SubClass(SuperClass): def __init__(self, parameter): #슈퍼 클래스 __init__ 호출 super().__init__(parameter) 다중 상속 - 여러 개의 슈퍼 클래스를 상속 받음 - 상속 순서는 왼 > 오 > Object (Object 클래스는 항상 최상위 슈퍼 클래스) class SubClass(SuperClass1, SuperClass2): getter , setter - 객체 내부 변수에 접근할 때, 특정 로직을 거쳐 접근시킴 - 제약 조건을 만들어서 접근 가능 여부 만들 때 사용 - python은 mangling을 더 많이 사용 - ..
Class - 변수와 함수를 묶어놓은 개념 - 클래스와 선언 - 변수와 함수를 클래스 안에서 선언 - 클래스를 객체로 만들어서 클래스 안의 변수와 함수를 사용 Basic class 1. Class 선언 - class 안에 여러 개 함수 선언하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 - 객체 지향 = 모든 것을 변수화 - 함수명은 CamelCase(대문자 구분)로 작성 - 클래스 안에서 선언한 변수는 local 변수 - 변수 = 클래스() -> 클래스 인스턴스화: 새로운 변수에 클래스를 담아두는 것 - .을 통해 클래스의 변수, 메소드에 접근해서 사용 2. Self - 객체 자신 - 어떤 변수에 클래스가 선언되면 호출되는 함수들의 self는 모두 변수로 바뀜! 3. 생성자, 소멸자 - 클래스의 인스턴스 객체가 생성/소멸될 ..
arguments와 keyword arguments - 함수 선언시 파라미터 수를 특정할 수 없을 경우 - keyword arguments는 아규먼트로 함수 호출시 키워드를 작성하여 호출 - args는 튜플 - kwargs는 딕셔너리 def hap (*args, **kwargs): print(type(args), args) print(type(kwargs, kwargs) return sum(args) + sum(list(kwargs.values())) # args: (1, 2, 3, 4) # kwargs: {num1 : 5, num2 : 6} hap(1, 2, 3, 4, num1=5, num2=6) list타입 데이터를 args로 호출하는 방법 def gop(n1, n2, n3): return n1 * ..
식별자 변수, 함수, 클래스, 모듈 등의 이름 규칙: 소문자, 대문자(클래스), 숫자(가장 앞에는 불가), _(변수, 함수) 예약어 사용 불가 candy_bar : 변수, 함수 lowDashError : 클래스 데이터 타입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= 자동으로 타입 설정 %whos 선언된 변수 함수 볼 수 있음 데이터 타입 숫자 int : 정수 float : 실수 문자 : str 리스트 [] 순서가 있고 수정 가능 안에 들어가는 데이터는 모든 타입 가능 0부터 시작 offset index # slicing list[n:m] : n부터 m-1까지 return list[::-1] : 역순으로 출력 list[시작:끝:간격] 함수 -> 데이터 타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내장함수 존재 #추가 : append() #..